









경기도 기록원 제3별관 설계공모
(2nd prize)
“지나간 시간을 담아 미래를 그리는 경기도기록원”
이곳은 우리의 지나간 시간의 결집점이자 미래로 출발하는 시작점이다.
기록과 기록원에 대한 해석
관리와 보존의 기능을 하는 수장고의 역할은 도서관/미술관/박물관과 같으나 기록원이 다루는 것은 도큐먼트와 데이터, 인포메이션이다. 가공된 컨텐츠를 다루는 타 시설의 수장고보다 도시 시스템과 삶에 밀접하게 맞닿아, 데이터의 내용과 양의 증감과 사회적 변화에 직결되는 기록보관소는 대응성(매체변화/환경)-지속성-보안성-개념(가치)성 측면에서 타 시설보다 면밀히 다뤄져야 할 공간이자 장소이다.
(구)경기도청과 경기기록원
도시의 사람-삶의 기초적 기록(시간)을 담아내는 공간으로서의 기록원이 도민들의 삶을 꾸려간 주축의 장소였던 (구)경기도청 자리에 새롭게 자리 잡는다. 많은 이들의 노력과 지지로 1967년 팔달산 자락에 자리잡은 이 후 도청이 광교로 이전한 지금까지도 많은 도민들을 맞이하며 도민들의 애정과 추억을 담은 장소로 남아있다. 도서관과 박물관에 쌓이는 컨텐츠의 그 이전, 모든 이야기의 시작(발판)이 되는 기록(Record)과 기록을 쌓아가는 아카이브(Archives) 저장소로서 오랜기간 동안 도민들에게 사랑받아온 장소에서 기록원의 새로운 유형을 제시하는 건축물로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경기도의 기록원, 변화와 기회를 그리는 경기기록원
우리나라 인구의 절반이 수도권에 거주/상주하는 현재, 최대 도시인 서울의 인구를 넘어 인구 천만 규모의 광역자치단체로 성장하고 있는 경기도. 31개의 기초단치단체의 저마다의 다양성, 발전과 변화의모습을 꾸리고 지원하는 경기도청의 살림 규모에 걸맞는 기록시스템과 이를 지원하는 공간이 필요하다. 사회혁신복합단지로 새롭게 꾸려지는 (구)경기도청부지 제3별관에 자리잡는 기록원은 경기도의 오랜 정체성과 문화적 구심점으로 시민들과 보다 가까이 호흡하며 함께 미래를 준비하는 기록원으로 발돋움 할 것이다.
벽
건축의 기본 요소인 벽은 공간을 나누기도 하고 외부환경으로 부터 실내공간을 보호하기도 하고 담장이 되어 외부와 만나기도 하고 그 자체로 하나의 판(board)이 되기도 한다. 기록의 원형,
근원이 되는 데이터를 벽의 개념과 연결해 다양하게 변형/활용하여 데이터를 보호하기도 하고, 큰 벽이 되어 시민과 마주하기도 하는 건축 개념으로 활용한다.
Project 경기도 기록원 제3별관 설계공모
Location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효원로 Hyowon-ro, Paldal-gu, Suwon-si, Gyeonggi-do
Program 공공업무시설 public office facilities
Site area 대지면적 65,900㎡
Building area 건축면적 1,992㎡
Gross floor area 연면적 4,316㎡
Building scope 규모 4F
Building to land ratio 건폐율 27.88%
Floor area ratio 용적률 80.67%
Structure 철근콘크리트 Reinforced Concrete
Exterior finishing 모노쿠쉬 Monocouche
Design period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