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온수공원(연의지구) 공원의 집 기본 및 실시설계
도시의 소음과 빌딩 숲을 벗어나 언덕에 올라 나무 사이로 해가 내려앉는 풍경을 바라본다.
비워진 들판을 내달리는 상상을 한다. 텅 빈 장소가 그리워지는 순간이 있다.
긴 숨을 들이쉬고 내쉴 수 있는 빈 장소. 우리에게 공터가 필요하다.
도시의 빈 땅에 공원이 생긴다. 혹은 비우기 위해 공원을 만든다. 공원은 숲이 되고 생명을 품는다. 숲의 생명을 느끼려면 우리는 지긋이 숲에 머물러야 한다. 비워낸 공간에 자연스럽게 자리한 실내공간에 사람들은 모여들고 만나고 연결된다.
온수공원 2지구의 주 접근로는 막다른 길을 통해 연결되며, 공원의 건축물은 기존 건물(아파트와 교회)이 접한 도로의 종점에 배치한다. 이는 도로와 건축물로 구성된 기존 도시풍경의 맥락에 순응하며 공원의 자연적 훼손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또한 공원 내 지원시설 건축물의 조성으로 겹경사지의 흙막이 역할을 함으로써 토사 붕괴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대상지는 공원과 개발제한구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건축물은 개발제한구역이 아닌 공원 필지(신정동 1322-5번지)에 조성한다. 이는 개발제한구역 내 건축행위 진행 시 발생할 행정적 절차의 어려움과 그린벨트(개발제한구역)라는 땅이 가진 속성을 감안한 것이다.
Project 온수공원(연의지구) 공원의 집 기본 및 실시설계
Location 서울특별시 양천구 신월7동 Shinwol 7-dong, Yangcheon-gu, Seoul
Program 근린생활시설 Neighborhood living facilities
Site area 대지면적 28,155㎡
Building area 건축면적 158㎡
Gross floor area 연면적 73㎡
Building scope 규모 1F
Building to land ratio 건폐율 0.56%
Floor area ratio 용적률 0.26%
Structure 중목구조 Glued Laminated Timber
Exterior finishing 콘크리트 벽돌, 로이삼중유리 Concrete Brick, Low-e Glass
Design period 2024
Structure engineer 솔빛 엔지니어링
Mechanical engineer ㈜태영설비
Electrical engineer ㈜대광사업단
Landscape designeer Design Studio LOCI
Construction period 2024-2025